[fullwidth background_color="" background_image="" background_parallax="none" enable_mobile="no" parallax_speed="0.3" background_repeat="no-repeat" background_position="left top" video_url="" video_aspect_ratio="16:9" video_webm="" video_mp4="" video_ogv="" video_preview_image="" overlay_color="" overlay_opacity="0.5" video_mute="yes" video_loop="yes" fade="no" border_size="0px" border_color="" border_style="" padding_top="20" padding_bottom="20" padding_left="" padding_right="" hundred_percent="no" equal_height_columns="no" hide_on_mobile="no" menu_anchor="" class="" id=""][/fullwidth][two_fifth last="no" spacing="yes" center_content="no" hide_on_mobile="no" background_color="" background_image="https://consulting.t-ime.com/wp-content/uploads/sites/27/2018/03/3.jpg" background_repeat="no-repeat" background_position="left top" hover_type="none" link="" border_position="all" border_size="0px" border_color="" border_style="solid" padding="" margin_top="" margin_bottom="" animation_type="0" animation_direction="down" animation_speed="0.1" animation_offset="" class="" id=""][/two_fifth][three_fifth last="yes" spacing="yes" center_content="yes" hide_on_mobile="no" background_color="" background_image="" background_repeat="no-repeat" background_position="center bottom" hover_type="none" link="" border_position="all" border_size="0px" border_color="" border_style="solid" padding="" margin_top="300" margin_bottom="" animation_type="0" animation_direction="down" animation_speed="0.1" animation_offset="" class="" id=""][fusion_text]

강북에서 명문대 가기


[/fusion_text][/three_fifth][fullwidth background_color="" background_image="" background_parallax="none" enable_mobile="no" parallax_speed="0.3" background_repeat="no-repeat" background_position="left top" video_url="" video_aspect_ratio="16:9" video_webm="" video_mp4="" video_ogv="" video_preview_image="" overlay_color="" overlay_opacity="0.5" video_mute="yes" video_loop="yes" fade="no" border_size="0px" border_color="" border_style="" padding_top="20" padding_bottom="20" padding_left="" padding_right="" hundred_percent="no" equal_height_columns="no" hide_on_mobile="no" menu_anchor="" class="" id=""][fusion_text]서울 모 대학의 의과대학은 작년까지 적어도 최근 3년 동안 강북지역 학생을 학생부종합전형으로는 단 한 명도 선발하지 않았다는 것이 밝혀져 이 지역 학부모, 학생, 교사에 원성과 질타를 받은 적이 있다. 불공정한 입시가 치러지고 있다는 의혹의 방증이면서 금수저전형의 오해를 받을 수 있는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의과대학이니깐 좀 다를 수 있지 않냐는 반응도 있는 듯하다. 큰일날 소리다. 의과대학은 왜 그러해야 하며, 의과대학이 그러하면 다른 단과대학들도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그럴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그래서 모 고교에서는 학교 차원에서 직접 이 대학을 방문하여 그 까닭을 질의하고 지역과 고교유형에 따른 편향된 평가를 지양하고 객관적 평가기준에 따른 공정한 평가를 해줄 것을 당부했다고 한다. 그 결과인지는 단정할 수는 없지만 이 고교에서 올해 그 의대에 한 명이 합격했다. 이 또한 공정한 평가를 하게 된 결과인지 아니면 또 다른 불공정에 의한 결과인지는 확신할 수 없다.

서울 강북지역에서 가장 많은 학생들이 다니며 인지도 높은 (주)타임교육 산하의 중계동 학림학원의 2018대입 결과는 학종이 절대적 비중을 차지하는 지금의 입시에 대해 강북지역 학생들의 유·불리를 가늠해볼 수 있는 좋은 시사점을 주고 있는 듯하다. 이 학원에 재학한 학생들의 대부분은 지역 자사고생 일부를 포함하나 대부분 강북지역 일반고 생들이다.

현재 입시는 시기상으로 크게 수시와 정시로, 전형유형별로는 교과, 종합, 특기(실기), 논술, 정시 5가지로 나눠진다. 2018대입에서 전국 4년제 대학의 모집인원은 수시가 76.2%인 265,862명에 정시가 23.8%로서 82,972명이었다. 전형유형별로는 교과전형이 41.4%로 가장 많은 인원을 선발했고, 그 다음이 학종으로 24.3%였으며, 정시가 20.7%로서 3번째로 많았으며 그 다음이 특기자로 5.6%였고 논술이 3.8%를 차지했다.

대체로 교과전형은 지방, 일반고, 재학생 등에 유리한 전형으로 인식된다. 학종은 금수저 논란이 있듯 서울 강남이나 부산 해운대, 대구 수성 등 대도시 부촌지역, 특목/자사고에 유리한 전형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기자는 취지상 특목고생에 유리한 전형으로 인식 된다. 논술은 수도권 주요 대학들과 지방에선 경북대와 부산대만 시행하는 것으로 역시 서울 및 대도시, 자사고, 상위권 일반고 등에 유리한 전형으로 인식된다. 수능의 경우 재수생, 자사, 강남 및 대도시 학생들이 강세를 보인다.

그런데 수험생들의 진학 선호도가 높은 서울 상위권 대학, 의치한, 카이스트 등 과기원, 교대 등의 전형유형별 모집비율은 위 전국대학 평균과 많이 다르다. 당장 카이스트 등 과기원은 100%이거나 소수인원을 정시에서 모집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모두 수시에서 그것도 학생부 종합으로 선발한다.

의치한의 경우 의대는 교과형 22.4%, 종합 26.9%, 특기자 1.7%, 논술 9.7%, 정시 40.7%로서 정시의 비중이 가장 크고 종합과 교과가 근소한 차이가 나는 모집비중을 보이고 있다. 서울시내 의대의 경우 교과 1.9%, 종합 38.6%, 특기자 5.1%, 논술 22.5%, 정시 31.9%의 모집비율로서 전국의대평균과는 또 다르다. 즉, 특목, 자사나 상위권 일반고에 유리한 전형구성을 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총 45,581명을 모집한 서울 상위권 15개 일반대학의 경우 교과 6.3%, 종합 43.3%, 특기 7.6%, 논술 15.1%, 정시 27.7%의 모집비율로서 교과보다는 종합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경쟁률은 상위 12개 대학 평균 19.1이고 전형유형별로는 교과전형이 7.07, 종합 10.7, 특기 7.4, 논술50.8 대1이었다.

위와 같은 상황을 고려했을 때, 서울 강북, 지방의 일반고라면 입시에서 유리하다는 생각이 별로 들지 않을 것이다. 과연 결과는 어떠했을까?

19

표에서와 같이 학생부가 중요시 되는 수시가 정시보다 합격비율이 크며, 학생부종합전형에서 있어서 최상위권이라고 할 수 있는 의치한, 서연고의 합격자 수는 2017대비 학종이 늘어난 2018에서 더 많은 합격 결과를 냈다. 물론, 이 학원의 상위권 입시대비와 관리의 세심함을 간과할 수는 없다. 그렇지만 결과적으로 강북지역 학생들이 입시, 특히 학종이 대세가 된 지금의 입시에서도 불리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 준다고 할 수 있다.

면접이 없는 서강대, 성균관대, 한양대, 홍익대 등의 학종 전형과 수능전 면접인 중앙대, 한국외대, 건국대 등의 전형은 2018에서 처음 시행된 수능 영어 절대평가로 인한 점수 인플레 기대심리로 지원을 덜한 결과 합격 숫자도 적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논술의 경우도 고려대가 논술을 폐지하면서 없어진 숫자와 전반적인 논술전형 모집인원 감소에 비례하여 합격숫자가 만들어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개천에서 용 난다는 말이 있다. 그것은 개천의 지형으로서의 역할보다 용의 자력갱생의 역량이 더 강조되는 말일 것이다. 일부 폐단이 있지만, 학생부전형은 학교생활을 그 환경에서 얼마나 적극적으로 노력을 했고 성취를 했나를 평가하는 측면이 커 지방학생이나 강북 학생들에게 결코 불리하지 않은 전형이라고 할 수 있다.[/fusion_text][/fullwidth][fullwidth background_color="" background_image="" background_parallax="none" enable_mobile="no" parallax_speed="0.3" background_repeat="no-repeat" background_position="right center" video_url="" video_aspect_ratio="16:9" video_webm="" video_mp4="" video_ogv="" video_preview_image="" overlay_color="" overlay_opacity="0.5" video_mute="yes" video_loop="yes" fade="no" border_size="0px" border_color="" border_style="solid" padding_top="20" padding_bottom="20" padding_left="" padding_right="" hundred_percent="no" equal_height_columns="no" hide_on_mobile="no" menu_anchor="" class="" id=""][two_third last="no" spacing="yes" center_content="no" hide_on_mobile="no" background_color="" background_image="" background_repeat="no-repeat" background_position="left top" hover_type="none" link="" border_position="all" border_size="0px" border_color="" border_style="" padding="" margin_top="" margin_bottom="" animation_type="" animation_direction="" animation_speed="0.1" animation_offset="" class="" id=""][/two_third][one_third last="yes" spacing="yes" center_content="no" hide_on_mobile="no" background_color="" background_image="https://consulting.t-ime.com/wp-content/uploads/sites/27/2018/03/황동현.jpg" background_repeat="no-repeat" background_position="right center" hover_type="none" link="" border_position="all" border_size="0px" border_color="" border_style="solid" padding="" margin_top="" margin_bottom="" animation_type="0" animation_direction="down" animation_speed="0.1" animation_offset="" class="" id=""][/one_third][/fullwidth]